각 개체는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텍스트 박스는 text1, text2, text3 하는 식으로 text라는 이름에 뒤에 숫자만 늘어나고, 커맨드버튼도 마찬가지로 생성됩니다. 이 이름은 마음대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단, 몇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1.변수와 마찬가지로, 비주얼 베이직의 특수한 명령어를 써서는 안됩니다. ex) End, If, Sub 등 2.변수와 마찬가지로, 개체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되거나 숫자만으로 만들어져서는 안됩니다. ex) 1a, 27 등 3.변수와 마찬가지로, 개체의 이름에는 공백이 들어가선 안됩니다. ex) a bc, hi sam 등 4.변수와 마찬가지로, 개체의 이름이 255자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ex) abc....(324글자 생략)...abc..
비주얼 베이직의 코딩창입니다. 이 곳에 코드를 입력해서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죠. 소스 창을 설명하겠습니다. 왼쪽 위에 'Form'이라고 쓰여져 있는 콤보 박스는, 현재 입력하는 코드가 무엇에서 일어나는지를 알려줍니다. Form이니까 폼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네요. 오른쪽 위의 'Load'라고 쓰인 콤보박스는 언제 이벤트가 일어날 지 알려줍니다. Form에서 일어나고 Load이니까 '폼이 로드 될때' 일어나는 이벤트를 코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텍스트창을 보시면 맨 위에 'Option Explicit'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문장은, 미리 선언된 변수만 사용하게 합니다. 이 문장이 없다면 변수 선언 없이 변수를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대신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죠. 이 문장은, '도구 - 옵션' 에서 '변..
중학생 정도 되면 학교 수학 시간에 '함수'를 배우게 된다. 어떤 수를 함수에 대입하면 어떠한 값이 나오는것이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상자'에 어떤 수를 넣으면 '상자'가 특별한 '계산'을 한 뒤 그 '값'을 반환한다. 함수가 상자고, 함수의 내용이 계산 이다. 함수는 꼭 숫자만 처리하지 않는다. 문자열을 받아서 특정하게 걸러주는 함수도 있고 문자열을 형식에 맞게 바꿔주는 함수도 있다. 또, 개체를 특정한 상태로 맞춰주기도 한다. 첨부된 파일에 비주얼 베이직의 내장 함수가 들어있다. 내장 함수 말고도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구현할 수 있으니 연구해 보도록 하자.